60.Unix2008. 12. 11. 10:42
반응형


II.  솔라리스 설치

1.  설치 전 준비사항

솔라리스를 설치하기에 앞서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을 먼저 체크함으로써 설치 시 혼란을 줄일 수 있다.

가.  하드웨어 호환 목록 살펴보기

스팍 머신에 솔라리스를 설치할 경우 별 문제가 없으나 인텔용 설치에 있어서 솔라리스 7의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인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Sun 사이트에 가면 Hardware Compatibility List(HCL)라는 호환 하드웨어 목록을 제시해 준다. PC에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가 쓰이는데 혹시라도 지원이 안 되는 하드웨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꼭 점검해보자. 만약 설치가 되더라도 원활한 사용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사양이 좋아서 문제 될 것은 없지만 솔라리스의 경우 리눅스처럼 다양한 그리고 최신의 하드웨어에 대한 지원은 없는 편이다. 이점을 고려하여 약간 구형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도 현명할 것이다.



HCL은 미디어 킷 구입단계 중 Step One: … 에 링크되어 있다. 직접 HCL 페이지로 가려면 아래 링크를 눌러보자. 또한 http://docs.sun.com에 가면 한글화된 하드웨어 호환 목록을 PDF 형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일반적인 요구사항

CPU

Intel 및 호환 : Pentium 이상(Pentium Ⅲ Zeon까지)

 AMD군 : K5 이상(Athlon K7까지)

 Cyrix군 : 5x86-100GP 이상(MII 까지)

메모리

최소 64MB, 최대 32GB

Bus

ISA, PCI, VLB

디스크 인터페이스

IDE, E-IDE, SCSI

배포 매체

CD-ROM, 싱글 부트 디스켓

솔라리스 설치에 필요한 장치

로컬 SCSI, ATAPI/IDE CD-ROM ,DVD-ROM drive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SCSI,

ATAPI/IDE CD-ROM, DVD-ROM drive, 하드디스크


그밖에 싱글 프로세서 시스템,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SCSI 어댑터, SCSI 컨트롤러, CD-ROM/DVD-ROM, Jaz/Zip 드라이브, 오디오 디바이스, 멀티포트 시리얼 어댑터, 네트워크 어댑터, USB, PCMCIA, 포인팅 디바이스, 테이프 드라이브, 메인보드, 비디오 카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다양한 하드웨어 호환목록을 살펴볼 수 있다.

MEMO:


나.  파티션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요즘은 대용량 하드디스크의 가격이 비교적 싸졌기 때문에 공간부족으로 인한 문제는 거의 없으리라고 본다. 하지만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어떻게 파티션을 나누느냐는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그룹에 따른 권장 디스크 공간

솔라리스 7은 소프트웨어 그룹에 따른 권장 디스크 공간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그룹

권장 디스크 공간

전체 배포와 OEM 지원

2.4GB

전체 배포

2.3GB

개발자 시스템 지원

1.9GB

최종 사용자 시스템 지원

1.6GB




일반적인 파티션

시스템의 사용 용도나 각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파티션의 용도 및 크기를 살펴보자.

파티션

크기

용도

/

30%

커널이 적재되는 파티션으로 없어서는 안된다. 너무 적은 용량을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export/home

30%

사용자 홈 디렉토리, /home 파티션은 따로 사용용도가 있으므로 /home을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설정하지 말기를 권장한다. 공간은 넉넉할수록 좋다.

/opt

/ 파티션에 포함

Sun에서 제공되는 기타 응용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디폴트 파티션이다.

/usr

30%

유틸리티 및 기본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곳. 후에 응용프로그램 추가 설치 시 용량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넉넉히 할당한다.

/var

/ 파티션에 포함

로그, 메일, 프린트 작업 등 휘발성 파일들이 적재되는 곳. 메일 서버나 프린트 서버를 운영한다면 1GB 이상의 공간을 할당해 주는 것이 좋다.


나머지 10%의 공간은 스왑 영역으로 할당해 준다. 메모리의 두 배 가량으로 할당한다. 비율은 대략적인 것으로 사용자가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  네트워크 정보 수집

시스템이 네트워크 상에서 정확한 작동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LAN이나 인터넷 환경 상에 있어야 한다. 아무리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설정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시스템에 솔라리스 7을 설치하기 전에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해 놓는 것이 좋다. 각 해당사항을 모를 경우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해서 알아두자.

MEMO:


Hostname

솔라리스가 설치될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의 이름

ex)www3

IP Address

시스템의 IP 주소

ex)211.248.154.8

Domain Name

자신의 속한 그룹의 도메인 이름

ex)kwedu.net

Subnet Mask

솔라리스가 설치될 시스템이 서브넷의 일부라면 이 또한 알아두자.

ex)255.255.255.0


만약 DHCP를 사용한다면 관리자에게 문의해서 해당 사항들을 알아두도록 하자.

참고

DHCP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DHCP서버기능을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IP설정을 자동화 시켜준다.

서버컴퓨터에서 전체의 IP를 관리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부팅 할 때마다 서버컴퓨터에서 사용하지 않는 IP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할당하여 준다. DHCP 기능을 이용하면 한정적인 IP를 휴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TCP/IP의 설정이 "자동으로 IP주소 받기"로 되어 있다면 DHCP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케이블모뎀, ADSL)


2.  Solaris 7 설치

Solaris 시스템의 설치는 학교 SUN장비(보통 Enterprise 25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방법은 시스템을 처음부터 새로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기존에 서버에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테이프를 이용하여 백업을 한 후 이 작업을 해야한다.

가.  시스템 작동하기

시스템의 전원을 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림 2-1) 시스템 초기 화면

이 화면은 시스템의 전원만 작동시키면 언제든지 볼 수 있는 화면이다.

나.  CD-ROM으로 부팅하기

시스템에 전원을 켠 후, Solaris 7 Software CD를 시디롬 드라이브에 넣는다.

그림 2-1)과 같은 상태에서 STOP키와 A키를 동시에 누른다.

MEMO:


그림 2-2) STOP+A키를 누른 상태

화면에 ok 표시가 되면서 명령어 입력 상태로 변한다.

그림 2-3) cd rom 부팅하기

그림 2-3)과 같이 boot cdrom 이라고 타이핑 한 후 엔터키를 누른다.

그럼 다음 그림과 같이 cdrom으로 부팅과정을 거친 후 자동으로 UNIX 설치 과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그림 2-4) cdrom 부팅 진행과정

다.  Solaris 설치하기

아래 그림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하여 cdrom으로 부팅이 된 후, 제일 처음 만나는 화면이다. 이 화면에서는 언어와 로켈을 선택한다.

영문으로 나타난 메시지를 한글로 번역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화면에서 선택한 로켈은 시스템 재부팅 후 데스크탑에서 기본으로 표시됩니다. 로켈을 선택하면 특정 로켈 또는 지역(예를 들어 시간, 날짜, 철자, 화폐 가치)에 대해 온라인 정보가 표시되는 방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주:ASCII 전용 옵션은 이전 릴리스에서 사용가능했던 기본 128자를 제공합니다. 로켈 특정 영문자(강세 표시나 우물라우트 문자 같은)가 필요한 국제 통신을 보내거나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 ASCII전용 세트로 충분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256자를 포함하는 ISO 로켈을 선택할 수 잇습니다. ISO 로켈을 선택하면 사소한 성능 저하(대개 5%미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림 2-5) Select Language and Locale

그림 2-5)의 화면에서는 Language는 두 번째 있는 Korean EUC locale (ko)를 선택합니다.

예전에 아래 것을 선택했을 경우가 있었는데, 이 때는 시스템을 완전히 설치한 후 재 부팅했을 경우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했다.

그림 2-6) Solaris 설치 프로그램

이제 본격적으로 Solaris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그림 2-6에 이어 컴퓨터 식별화면이 나타난 다음 계속을 선택하면 그림 2-7과 같이 컴퓨터 이름을 입력하는 화면이 나온다.

MEMO:


그림 2-7) 호스트 이름 입력

호스트 이름을 입력하게 된다. 이 때 호스트 이름은 사용하는 도메인에서 고유해야 한다. 즉, 학교를 기준으로 같은 이름의 컴퓨터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윈도98이나 NT, 기타 다른 Linux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름이어서는 안 된다. 윈도98의 경우 네트워크 환경 등록정보에서 컴퓨터 확인이라는 탭을 확인해 보면 거기에 컴퓨터 이름이 있다. 바로 이것과 다른 이름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설치 완료 후 네트워크 상에서 문제가 야기된다.

중복되지 않는 이름이라면 어떠한 임의의 이름도 관계없다. 여기서는 WWW3로 표현을 했다. 그외 cs나 stims도 좋은 이름이다.

그림 2-8) 네트워크 연결

서버로서의 기능을 하려면 반드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선택하고 계속을 누른다.

그림 2-9) IP 주소 입력

시스템의 IP 주소를 입력한다. 이 주소는 고유해야 하며 사이트의 주소 규약을 따라야 한다. ip 주소는 마침표로 분리된 4세트의 숫자로 구성한다. 예를 들어 사설 IP의 경우에는 192.168.17.1, 공인 IP는 학교에 할당된 IP중 사용하지 않는 IP를 입력한다.

다음 화면에서 호스트명과 네트워크, 그리고 IP 주소의 정보 확인을 물어본다. 이 때 계속을 선택한다.

그림 2-10) 이름 서비스 선택

이름 서비스는 대부분 DNS를 사용하므로 세 번째 DNS를 선택한다.

만약 학내에서만 사용할 경우에는 네 번째 None을 선택해도 관계없다.

그림 2-11) 도메인 이름 입력

도메인 이름은 시스템이 있는 도메인을 지정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학교도메인을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네임 서버에 이 시스템을 등록시켜 주도록 하자.

그림 2-12) DNS 서버 주소 등록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하도록 하자. 여기에는 한 개의 주소만 입력해도 관계가 없다. 그러나 반드시 하나라도 입력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제일 위에는 자체 DNS 서버 주소를, 그리고 두 번째는 대형 ISP의 DNS 서버 주소를 입력한다. 여기서는 168.126.63.1을 입력했다. 이 주소는 모든 학교가 동일하게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림 2-13) DNS 검색 목록 등록

이 항목은 무시를 하고 넘어가도 관계없다. 다만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려고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지 않고 호스트 명만 입력하였을 경우 그림 2-13의 경우에 웹브라우저에서 www만 입력했을 경우, www.kwedu.net로 연결이 된다. 만약 kwedu.net에 www가 없을 경우에는 gwedu.net을 검색하고 그 다음엔 egangwon.net을 검색하게 된다.

그림 2-14) 정보확인

그림 2-14에서 그 동안 입력한 정보들을 다시 한번 확인해 보고, 틀린 부분이 있으면 변경을 눌러 다시 고치도록 하고, 정확할 경우 계속을 누른다.

그림 2-15) 서브넷 지정

네트워크에서 서버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브넷이 지정되어야 한다.

그림 2-16) 서브넷 마스크 지정

네트마스크를 여기서는 255.255.255.0으로 지정했다. 이는 대부분 사설IP를 사용하는 학교에서는 공통일 것이다. 네트마스크는 공인 IP의 경우, 학교 규모에 따라 IP의 개수가 달라지게 되는데, 우리 학교의 IP 대역을 결정하게 된다.

보통 255.255.255.0, 255.255.255.128, 255.255.255.192, 255.255.255.224 중에서 사용할 것이다. IP 수로 보면 앞에서부터 256, 128, 64, 32개의 IP를 할당받은 경우에 해당된다. 네트마스크 설정은 뒤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자.

그림 2-17) 기본 시간대 지정



그림 2-17에서는 제일 처음에 있는 지역적 위치를 선택한다. 그리로 설정을 눌러 그림 2-18에서처럼 아시아 동부의 한국을 선택한다.

그림 2-18) 아시아 동부에 있는 한국

그림 2-19) 날짜 및 시간 설정

날짜와 시간이 맞으면 바로 계속을 누르고, 틀리면 수정한 후 계속을 누른다.

그림 2-20) 정보확인

서브넷마스크 및 시간대의 정보를 확인하고 맞으면 계속을 누른다.

그림 2-21) Solaris 설치 방법

여기서는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초기화할 수 있다. 처음부터 새로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므로, 초기 단추를 누른다.

그림 2-22) 클라이언트 서비스 공간 할당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위해 공간을 할당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계속을 누른다.

그림 2-23) 언어선택

이 화면에서는 Solaris를 설치한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즉 X-window에 나타날 언어를 선택하는데, 여기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바로 계속을 누른다.

그림 2-24) 소프트웨어 선택

여기서는 시스템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소프트웨어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교무업무 서버로 활용하거나, 단순한 웹서버나 메일서버, 네임 서버로 활용하는데는 End User System Support 만 선택해도 충분하다. 필요 없이 위의 것을 선택하면, 디스크 공간과 Process의 낭비만 초래하게 된다.

MEMO:


그림 2-25) 디스크 선택

디스크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대부분의 서버는 하나의 하드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림 2-25와 같이 뜬다. 필요한 공간을 확인해야겠으나 유닉스 시스템을 End User로 설치하면 500M를 넘지 않으므로 충분하다. 따라서 그냥 계속을 누른다.

그림 2-26) 데이터 보존

데이터를 보존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보존을 눌러준다. 그러나 우리가 시스템을 새로 설치할 때는 데이터는 모두 백업을 받아둔 상태이므로 그냥 계속 탭을 눌러준다.

MEMO:


그림 2-27) 파일시스템 레이아웃 선택

파일 시스템을 설정해야 한다. 즉, 윈도우에서 하나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를 분할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 배열을 시스템이 알아서 배열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가 필요한 만큼 디스크를 분할 할 수 없으므로 수동 배열을 선택한다.

그림 2-28) 분할 디스크 선택

시스템에 있는 파일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의를 누른다. 이 경우에는 파일시스템, 디스크에 배치한 목적, 그리고 이것이 바뀜으로 인해 시스템 운영에 미치는 영향 등을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MEMO:


그림 2-29) 디스크 공간 할당

0번 파티션에 /를 할당하고 그 공간을 1G로 잡았다. 이는 UNIX를 모두 설치해도 500M를 넘지 않기 때문에 1G 면 충분하다.

5번 파티션에 /stims를 할당하고 그 공간을 1G로 잡았다. 교무업무 서버용 프로그램을 모두 설치해도 200M면 충분하다. 그리고 향후 업그레이드를 몇 번을 한다고 해도 1G정도의 공간이면 충분하다.

7번 파티션에 swap을 설정했다. 이부분은 물리적 메모리(보통 512M)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를 메모리로 사용하기 위해 설정한다. 여기서는 512M를 할당했는데 이는 물리적 메모리와 디스크를 합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가 1G나 됨을 의미한다. DB를 5개 이상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정도면 충분하다. 그러나 DB를 5개 이상 설치해야할 특수한 경우라면 swap을 1000으로 설정해 준다.

끝으로 6번 파티션에 /data를 할당하고, 나머지 공간을 모두 할당해 준다.

여기서 2번의 overlap은 디스크의 총 공간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그림 2-30) 파일시스템과 디스크 레이아웃 정보

그림 2-30은 앞에서 설정한 파일시스템과 디스크 레이아웃 정보를 보여준다. 그림 2-28에서 그림 2-30과 같이 바뀐 것이다. 여기서 계속을 눌러 준다.

그림 2-31) 원격파일 시스템 마운트

원격 파일 시스템은 마운트 할 필요가 없다. 그냥 계속을 누른다.

MEMO:


그림 2-32) 설치시작

여기서 지금까지 설정한 프로파일을 보여주고, 설치시작을 누르면 소프트웨어 설치를 시작하게 된다.

그림 2-33) 재부팅 방법 설정

시스템 설치후 재부팅을 해야하는데, 재부팅은 자동으로 한다.

그림 2-34) Solaris 소프트웨어 설치 진행

드디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시작한다. 이 작업은 약 15분에서 20분 정도 소요된다. 이상으로 대부분의 작업이 끝났다. 윈도98을 설치해 본 경험이 있다면, UNIX의 설치는 훨씬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까지 UNIX 설치의 모든 과정이 끝난 것이다.

그림 2-35) root 암호 등록

시스템이 완전히 설치되면 재부팅이 된다. 처음 재부팅시에 그림 2-35와 같이 root password를 등록해야 한다. 이 때 적절한 암호를 입력하면 되는데 가급적 8자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

그림 2-36) root로 접속하기

이제 시스템이 완전히 설치되어 최초로 root 권한으로 시스템에 접속하게 된다. 사용자 이름에 root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그림 2-37) 데스크탑 화면 선택

사용자가 사용할 데스크탑 화면을 선택하는 것이다. 요즘 나오는 Linux와 UNIX 모두에 사용되는 공통 데스크탑 환경을 선택하자.

3.  최초 사용자 등록

이제 이 시스템에서 작업하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대부분 외부에서 접속해서 처리를 하면 된다. 따라서 여기서도 외부에서 접속하여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최소 사용자를 등록해야 한다. 외부에서는 root로 바로 접속할 수 없으므로 일반 사용자를 하나 등록한다.

그림 2-38은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타난다.

<도구>에서 <터미널>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그림 2-38) 터미널 실행

그림 2-39) 사용자 등록 순서

그럼 터미널 창에서 사용자를 등록시키는 순서를 알아보도록 하자.

1단계 : #mkdir /data/user     -> /data/user라는 디렉토리를 만든다.

2단계 : #groupadd user       -> user라는 그룹을 등록한다.

3단계 : #useradd -d /data/user/jo -g user -s /usr/bin/csh -m jo

     -> jo라는 사용자를 등록하는데, 홈디렉토리는 /data/user/jo, 그룹은 user, 쉘은 /usr/bin/csh c shell을 사용, -m은 jo라는 디렉토리가 없을 경우 생성

4단계 : passwd jo   -> jo사용자의 암호 등록



이와 같은 단계를 거처 사용자를 등록한다. 추가로 다른 사람을 더 등록시킬 때에는 3단계와 4단계만 반복한다.

MEMO:


 




출처 : http://unix.co.kr/bbs/board.php?bo_table=02_021&wr_id=3

Posted by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