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을 사용하신다면 tail 명령어를 아실겁니다.
tail은 기본적으로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주는 유틸입니다.
(Man 페이지에는 tail -- display the last part of a file 로 설명이 나옵니다.)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보니 로그를 보는데 아주 유용합니다.
가령 웹(네트워크)서버에 로그 파일을 tail로 걸어놓고 보면 디버깅이나 프로그래밍할때 많은 도움을 줍니다.
아쉬운게 윈도우용은 tail이 없어서 윈도우상에서 Tomcat + Eclipse 작업을 할땐 로그 보기가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이런 불편함을 덜고자 tail과 유사한 mTail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출력할 file을 선택하고 우측 위의 start를 누릅니다. 그러면 tail 처럼 log가 죽죽 올라가지요

tail은 기본적으로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주는 유틸입니다.
(Man 페이지에는 tail -- display the last part of a file 로 설명이 나옵니다.)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보여주는 기능이 있다보니 로그를 보는데 아주 유용합니다.
가령 웹(네트워크)서버에 로그 파일을 tail로 걸어놓고 보면 디버깅이나 프로그래밍할때 많은 도움을 줍니다.
아쉬운게 윈도우용은 tail이 없어서 윈도우상에서 Tomcat + Eclipse 작업을 할땐 로그 보기가 여간 불편한게 아닙니다. 이런 불편함을 덜고자 tail과 유사한 mTail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출력할 file을 선택하고 우측 위의 start를 누릅니다. 그러면 tail 처럼 log가 죽죽 올라가지요
